본문 바로가기

영양(Nutrition)의 힘/내몸 살리는 채식

풀만 먹는 소! 누가 키웠길래 덩치 큰 근육질이 되나..

 식을 이야기 할 때 등장하는 이슈는 바로 소, 말, 코끼리, 기린 같은 초식동물이 어떻게 풀만 먹는데도 덩치나 근육이 커질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특히 말은 잘 다듬어진 근육이 일품이다. 그래서 소위 '말 근육 같다'라는 말이 생겨나기도 했다. 
    

말을 마사지 해주기 위해 말 피부에 해부도를 그려 놓은 것이다.


사람도 진화를 해왔듯이 초식동물도 수백만년간 풀만 먹도록 진화를 해왔다. 이에 대해 마이클 폴란은


한편으로는 풀이 수백만 년간 소의 음식이 되도록 진화해 왔던 것이다. 이런 협력 관계는 자연의 경이 가운데 하나다. 암소가 풀잎을 먹는다고 해서 풀이 죽지는 않는다. 풀은 소가 뜯어먹는 다고 해도 소에게 회복의 기회를 주는 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진화했다. 소는 풀과 경쟁 관계에 있는 어린 나무와 관목을 먹어치워 풀의 서식지를 보호해 준다. 소는 또한 풀의 씨를 퍼뜨리고, 발굽으로 심은 다음 배설물로 비료를 준다. 


라고 그의 저서 <잡식동물 분투기>에서 표현을 했다. 이렇게 풀과 소는 협력 관계이 있는데 이런 협력 관계를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것이 있다.


반추동물 그리고 미생물과의 협력

소는 반추동물이다. 반추동물은 되새김동물이라고도 하는데 소화작용은 반추작용을 하는 점과 미생물에 의한 먹이의 분해가 이루어지는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소, 양, 염소, 낙타, 사슴, 기린과 같은 동물이 이에 속한다. 반추동물은 위가 4∼5개의 방으로 나누어져 있다.

발효 탱크와 같은 역할을 하는 여러 개의 위를
'반추위'라고 한다(말은 위가 하나 밖에 없어 반추동물로 분류하지 않는다. 대신 장이 25m로 상당히 길다). 이러한 반추위가 있기에 풀을 주식으로 삼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반추위 속에는 풀을 먹는 미생물이 산다. 수십 종의 미생물이 1cm2 당 1백만 마리나 살고 있어서 풀로부터 섬유소를 분해해 탄수화물을, 풀의 세포질을 이루고 있는 식물성 단백질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해낸다. 미생물 덕분에 초식동물은 풀로부터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공급받는 것이다.
 


이에 반해 사람은 초식동물에 있는 미생물이 몸안에 없어 식물의 세포벽에 있는 섬유소를 분해해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어렵다. 한마디로 소화를 시킬 수가 없다. 그런데 이
섬유소는 인간에게 이롭다. 왜냐하면 장을 깨끗하게 청소하면서 대변과 함께 배출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활발한 장 운동을 위해 섬유소가 풍부한 곡류, 채소류를 섭취해야 하는 이유가 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식물성 단백질은 곡류나 콩류에 들어 있으므로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지 않더라도 운동을 통해 근육을 만드는 데 전혀 지장이 없다. 그런데 난류나 어류로부터 정기적으로 동물성 단백질을 함께 공급해주면 단백질의 흡수율을 높일 수 있어 좋으므로 적절하게 혼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다만 단백질 공급을 위해 너무 자주 육류를 섭취하는 것은 가급적 지양하는 것이 좋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꼭 기억해두시라!~

육류를 소화시킬 때에는 강력한 발암물질이 대장 내에 발생한다. 장내에 강산성의 담즙, 특히 디옥시콜릭산(Deoxycholic acid, 사람의 쓸개즙 속에 담즙산의 하나로 존재하는 것)이 생성되고 분비돼야만 하는 것이다. 디옥시콜릭산은 장에서 클로스트리디아 박테리아에 의해 강산성물질로 전환되는데 문제는 이것이 대장암 발병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장내 디옥시콜릭산의 농도는 예외 없이 채식가보다 육식가들이 높다. 육식가들의 대장암 발병률이 높은 이유 중의 하나가 여기에 있다.
-
육식! 건강을 망치고 세상을 망친다 中에서


참고 글
 
[다이어트 걸림돌 '변비' 도대체 왜 생기나? 제대로 알자!
[탄수화물은 다이어트의 '공공의 적'인가? - 탄수화물의 진가 (1편)]

하늘이 무거운 어제 하루였습니다. 그래도 아직 희망은 있습니다. 건강하고 행복한 수요일 되시길 바랍니다. 이상 푸샵이었습니다. ┌(ㆀ_ _)┐